다시 만든 A급 증폭회로

드디어 쓸만한 증폭기 완성

Recent Post


WOL Magic 패킷을 만들어 원격으로 컴퓨터 키기

WOL 패킷 구조 + C언어 코드

Recommended Post


STM32 UART 통신

HAL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UART 통신 해보기


1석 트랜지스터 증폭기

최대한 적은 부품으로 증폭회로 만들기

이 글은 회로에 커패시터를 달지않아 재대로 증폭이 되지 않습니다. 제대로 동작하는 증폭회로는 (링크) 를 참고해주세요

작업환경

npn 트랜지스터인 2SC1815 를 사용하여 공통 이미터 증폭회로를 만들었고 입력전압은 5V 저항은 2개를 사용하였고 스피커는 버려진 전자 피아노에서 가지고 뜯은 스피커를 사용하였습니다.

회로도

저번에도 이 회로와 비슷한 증폭기를 만들었는데 (링크) 그때는 발열이 너무 심하고 증폭의 효과가 적어서 좀 더 공부를 하고나서 더 좋은 회로를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결국 전기를 좀 더 공부한 지금 좀 더 수치적으로 증폭을 확인하고 싶어서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보고, 저항 값을 바꾸어 가면서 여러가지를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증폭된 신호

증폭전 신호 증폭후 신호

  • 증폭전 - 증폭후

증폭적 신호에는 Pk-Pk 신호가 72mV 정도 였는데 증폭기를 거치고나면 216mV 정도로 파형의 크기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공통 이미터 증폭기를 사용하여 증폭을 하여서 전압의 변화가 생겨 증폭을 하는 것으로 예측 하였습니다.

저항 바꾸기

사실, 저번에 만든 회로와는 콜렉터에 저항이 있고 없고의 차이만 있었습니다. 저번 회로에는 베이스에 걸리는 저항 값이 1KΩ 정도로 지금의 회로보다 더 높은 저항을 사용하였고 이미터에 저항 없이 바로 전선으로 전압을 공급하였는데 이것이 문제가 있어 많은 열이 나고 증폭율이 미비하였습니다.

회로

지금 제가 만든 회로는 엄청 적은 저항 값이긴 하지만 콜렉터에 10Ω정도의 저항이 걸려있고 베이스에 100Ω정도의 저항을 사용하였습니다. 저항 값을 계속 바꾸어 가면서 가장 증폭이 잘되는 저항값을 찾은 것이 이 정도의 저항인데 콜렉터 저항이 200Ω이 넘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회로가 동작을 하지 않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궁금한점

저항 값을 바꾸어 보는 것 외 트랜지스터 2개 연결, 귀환 회로와 같은 것을 계속 만들어보면서

  • 왜 저항 값이 쪼금 높아진다고 콜랙터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을까?
  • 트랜지스터 에서 나온 신호를 다른 트랜지스터에 입력신호로 넣었음에도 왜 증폭이 되지 않을까?
  • 트랜지스터에 발열은 어떠한 이유로 발생하는 것일까?

이런 것들이 궁금한데 나중에 이유를 알아내서 다시 정리를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